재산 형사
2025-07-31
🧩 이 글은 이런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경찰조사 거짓말 탐지기 검사는 무엇인가?
✔️ 수사기관에서 검사를 요구하는 이유와 대처법
✔️ 조사 시, 유리한 유형과 불리한 유형 안내
“
👀❓
경찰조사 거짓말 탐지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100% 정확하므로 무조건 따른다.
② 물증이 부족할 때 활용하는 도구다.
③ 법원이 활용하는 핵심 증거다.
”
👀❗
정답 ②
이는 과학적 기법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법원도 그 증거 능력을 인정하지 않으며 진실 여부를 완벽하게 가릴 수 없습니다.
다만, 수사기관에서 물증이 부족하거나 진술이 엇갈릴 때 참고 자료로 삼기 위해 자주 활용합니다.
폴리그래프 검사라고 하는 이 절차에서는 심리 또는 생리 반응(맥박, 혈압, 땀, 호흡 등)을 토대로 진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게 됩니다.
특히 궁금하신 점이 “조사에 응해야 하나요?”일 텐데요.
어떤 분들은 적극적으로 응해야 한다고 하고, 어떤 분들은 응하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
그 답은 사실 쉽습니다. “진실이 나올 것 같으면 받아야 하고, 거짓이 나올 것 같으면 받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다시 질문이 생기죠. “그런데 그 반응이 어떻게 나올지, 어떻게 압니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오늘 글을 통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 경찰조사 거짓말 탐지기, 100% 정확할까?
사실 쉽게 생각하면, 금방 답이 나옵니다.
100% 정확하다면, 진실을 말하면 진실 반응이 나오고 그렇지 않다면 거짓이 나오겠죠. 수사기관에서는 약 95% 이상 정확하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함정이 있습니다.
수사기관 입장에서는 그 결과와 같은 방향으로 송치 또는 기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약 95% 이상이라는 것이지, 그 검사 결과 자체가 95% 이상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제가 실무에서 경험한 바로는, 사람의 심리 상태는 너무나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판단만으로 진실 여부를 완벽하게 가려내기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즉, 과학적 판단 이전에 '심리전'의 성격이 강한 것이죠.
따라서 이 조사에 응할지 물어본다면, 그 답을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 전직 실무자가 조사받기 유·불리한 유형
유리한 유형
통상적으로 성격이 침착하고 감정 기복이 없는 사람
본인의 말에 확신을 갖고 있는 사람
긴장하거나 불안함의 정도가 적은 유형
→ 즉, 진실을 말할 때 거짓 반응이 나올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음
불리한 유형
성격이 예민하거나 감정 기복이 심한 사람
자신의 진술에 대해 확신이 부족한 경우
심리적 압박감과 긴장감에 의한 생리적 반응이 크게 나타남
→ 거짓 반응으로 오해받을 가능성이 있음
✅ 경찰조사 거짓말, 법원은 증거로 인정할까?
우선, 어떠한 경우에 이 조사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보통 법원에서 재판 과정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경찰 또는 검찰에서 실시하게 됩니다.
우리 대법원은 사실상 이 검사의 증거 능력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법원은 증거 능력을 인정할 수 있으려면 다음 세 가지 전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죠.
거짓말을 하면 반드시 일정한 심리 상태의 변동이 일어나고
그 심리 상태의 변동은 반드시 일정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며
그에 의해서 말이 거짓인지 아닌지가 정확히 판정될 수 있어야 함
결국 이 말은 완벽하지 않다면, 100% 신뢰성이 있지 않으면,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즉, 법원에서는 별도로 이를 실시하지 않으며, 수사기관에서 제출하는 결과라도 당사자가 인정하지 않으면(부동의) 증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경찰조사 거짓말 탐지기 검사를 요구한다면?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정확하지도 않다면서, 왜 받으라고 요구하나요?" 이런 의문이 드실 겁니다. 실효성이 없게 느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조사를 많이 활용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대개 물증이 없거나 부족한 사건이나, 당사자 간 진술이 서로 상반될 때, 누구의 말이 맞는지 판단하기 위해 이를 권유하곤 하는데요.
결국 우리 대법원은 이 결과의 증거 능력을 인정하지 않지만, 수사기관에서는 송치 여부 또는 기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 조사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조사에 응할지 말지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응했을 때, 진실 혹은 거짓 반응이 나올 가능성
응하지 않았을 때, 수사관 혹은 검찰에서 불리한 판단을 내릴 가능성
어떤 결과든, 이에 따라 어떤 처분을 내릴 가능성
실무자 입장에서 말씀드린다면, 가급적이면 변호사의 자문을 받아서 결정하시기를 바랍니다.
사건의 구체적인 상황과 당사자의 심리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전략을 세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 글을 정리하며
(2025.07) 법무법인(유한) 백송 재산분쟁 대응센터
겉으로 보기에는 과학적인 판단 도구 같습니다.
하지만 실무상 법적 증거 능력에 한계는 분명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당사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결과가 크게 좌우될 수 있는 복잡한 영역이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수사기관의 요구에 무작정 응하기보다는, 자신의 상황과 진술의 신빙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셔야 합니다. 만약 검사를 받게 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그리고 그 결과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죠.
실무에 있었던 저 역시, 사건을 맡을 때 수사기관이 어떻게 이 결과를 활용하려고 하는지, 그 이면에 숨겨진 의도는 무엇인지를 깊이 고민합니다. 아무래도 실무 경험 덕분에 이 점을 잘 이해하고 있기도 하죠.
만약 관련하여 고민이 깊으시다면, 상담을 통해 불리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그리고 진실이 제대로 밝혀질 수 있도록 최적의 전략을 함께 고민하고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재산소송 TIP
[재산 형사]
보증금안줄때 '이렇게' 해야 임대인이 움직입니다
2025-07-31 15명 조회
[재산 형사]
경찰조사 거짓말 탐지기 검사에 대한 모든 것. zip
2025-07-31 13명 조회
[재산 형사]
전과 뜻과 전과 기록, 전 부장검사의 팩트체크!
2025-07-31 16명 조회
[재산 형사]
보석 인용, 구속 피고인을 위한 보석 청구 가이드
2025-07-31 12명 조회
[재산 형사]
임신협박 사건으로 본 공갈죄와 비밀유지 계약 쟁점은?
2025-07-31 12명 조회
[재산 가사 ·상속]
법정상속인 순위만 알아도 '상속' 받기 쉽습니다!
2025-07-31 12명 조회
[재산 형사]
항소심 무죄, 벌금 45억과 무죄는 한 끗 차이?
2025-07-31 9명 조회
[재산 형사]
학폭명예훼손, 처벌 걱정 없이 폭로하는 법 있나요?
2025-07-31 8명 조회
[재산 민사]
인터넷 법률 정보, 변호사가 말하는 정확한 감별법
2025-07-31 10명 조회
[재산 형사]
의료과실, 형사처벌의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2025-07-31 8명 조회
[재산 형사]
고소장 대행? 변호사가 알려주는 셀프 작성 가이드
2025-07-31 8명 조회
[재산 민사]
보증금 증액 vs 갱신 요구, 임대차 분쟁의 최신 쟁점은?
2025-07-31 10명 조회
[재산 형사]
악플처벌, '이것'만 알아도 직접 고소할 수 있습니다!
2025-07-31 9명 조회
[재산 형사]
보이스피싱현금수거책, '몰랐어도' 처벌할 때 대응 방안은?
2025-07-28 23명 조회
[재산 형사]
채무면탈의 덫, 강제집행면탈죄는 언제 적용되나요?
2025-07-28 22명 조회
[재산 형사]
킥라니 사고, 전동킥보드 교통사고는 어떻게 처벌할까?
2025-07-28 27명 조회
[재산 형사]
불기소 항고, 前 검사장이 말하는 성공률 10%의 조건
2025-07-28 22명 조회
[재산 형사]
친족상도례 폐지, 가족이라도 법 앞에 예외는 없다?
2025-07-25 34명 조회
[재산 기업[상사]]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을 때 대응 방안
2025-07-18 37명 조회
[재산 민사]
과도한 합의금을 요구할 때, 판사들은 가짜 권리를 찾습니다
2025-07-18 31명 조회
면책공고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